엔비디아, 인텔, IBM, 구글…알고 보니 전부 '이 비자' 덕분이었다
뉴스앤포스트입력 2025-09-24 17:16
머스크뿐만이 아니다. 현재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이끄는 인도 출신 최고경영자(CEO)들 역시 H-1B 비자를 발판 삼아 '아메리칸 드림'을 이뤘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는 1988년 학생 비자로 미국에 건너와 석사 학위를 마쳤지만, 1992년 아내의 미국 비자가 거절당하는 위기를 맞았다. 그는 당시 자신의 영주권을 포기하고 H-1B 비자로 전환하는 과감한 도박을 감행했다. H-1B 비자 취득 시 배우자에게 동반 비자(H-4)가 나온다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훗날 그는 회고록을 통해 "기적적으로 모든 게 잘 풀렸다"고 술회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또한 인도에서 미국으로 유학 와 석사 학위를 받은 뒤, H-1B 비자를 통해 컨설팅 회사 맥킨지에서 경력을 쌓다가 2004년 구글에 합류한 케이스다. 이처럼 빅테크 기업들이 H-1B 비자에 의존하는 이유는 고질적인 영주권 발급 적체 문제 때문이다. 영주권을 신청하고 발급받기까지 3년 이상이 소요되는 현실 속에서, 기업들은 H-1B 비자를 통해 외국인 핵심 인재를 확보하고 미국 내에서 합법적으로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아마존, MS, 메타, 애플, 구글 등 대다수 빅테크 기업이 H-1B 비자 발급 건수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엔비디아, 인텔, IBM, AMD, 우버 등 이름만 대면 알만한 기업들 역시 외국 출신 CEO가 이끌고 있다. 대만 태생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우리는 가장 뛰어난 인재들이 미국으로 오기를 원한다. 이민은 우리 회사와 우리나라의 미래에 정말 중요하다"며 인재 유치에 있어 국경이 없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트럼프의 새로운 수수료 정책은 이러한 흐름에 급제동을 거는 것이나 다름없다. 특히 자금력이 풍부한 빅테크 기업과 달리, 이제 막 성장을 시작하는 스타트업 생태계에는 치명타가 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온다.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와이콤비네이터의 개리 탄 CEO는 "새 수수료가 빅테크에는 큰 문제가 아닐지 몰라도 스타트업의 다리를 꺾는 행위"라며 "H-1B 비자가 10만 달러짜리 통행세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결국 이번 수수료 인상안은 미국 기술 산업의 근간을 뒤흔드는 동시에, 미래의 '제2의 머스크'가 될지도 모를 인재들의 기회를 박탈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BEST 머니이슈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비트코인'지고"이것"뜬다, '29억'벌어..충격!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월수익 3000만원 가능하다!? 고수입 올리는 이 "자격증"에 몰리는 이유 알고보니…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비x아그라 30배! 60대男도 3번이상 불끈불끈!
- 죽어야 끊는 '담배'..7일만에 "금연 비법" 밝혀져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