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13조' 증발 경고…중국의 무서운 관광 보복, 일본 열도 '초비상'

뉴스앤포스트입력 2025-11-26 17:53
 중국 정부가 자국 항공사들을 향해 일본행 항공편 수를 줄이라는 이례적인 지시를 내리면서, 양국 간의 갈등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이번 조치는 2026년 3월까지 일본으로 향하는 항공편을 감축하라는 구체적인 시한까지 명시하고 있어, 중국이 일본과의 갈등 장기화에 대비하는 노골적인 압박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풀이된다. 항공사들은 이 지시가 '당분간' 유효하며 외교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고 전달받았지만, 그 시점이 전 세계 항공업계의 운항 일정이 바뀌는 2026년 3월 말로 특정되었다는 점에서 단순한 일시적 조치가 아님을 시사한다. 특히 이번 명령이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으로 중국의 심기를 건드린 직후에 나왔다는 점에서 명백한 정치적 보복 조치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단순한 경고를 넘어 이미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여행 자제를 권고한 이후 중국인들의 일본 여행은 이미 감소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번 항공편 감축 지시는 이러한 흐름에 쐐기를 박는 격이 되었다. 항공 데이터 분석 업체에 따르면, 올해 12월까지 예정된 중국발 일본행 항공편 수는 이미 10월 대비 20% 이상 감소했으며, 연말까지는 50% 이상의 노선이 취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최대 대목인 내년 춘절 연휴까지 중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사실상 끊길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일본 관광업계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중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면서 일본 관광 산업은 막대한 경제적 타격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여행 데이터 전문 시장 조사 기관인 '차이나 트레이딩 데스크'는 중국 관광객들의 여행 취소로 인해 일본이 올해 말까지 입을 관광 지출 손실액이 최대 12억 달러(약 1조 8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추세가 장기화될 경우다. 이 기관의 CEO는 만약 현재와 같은 상황이 2026년까지 지속된다면, 일본의 누적 관광 수입 손실액이 최대 90억 달러(약 13조 5천억 원)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자국민의 해외여행을 정치적, 경제적 압박의 수단으로 얼마나 강력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항공사는 중국 동방항공이다. 일본으로 연간 약 16,000편의 항공편을 운항하며 중국 본토 항공사 중 가장 많은 일본 노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이례적이고 강력한 '여행 통제'는 단순히 항공사와 여행객의 불편을 넘어, 일본 경제 전체를 흔들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되고 있다. 정치적 발언 하나가 촉발한 중국의 경제 보복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그리고 일본이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따라 동북아시아의 외교 및 경제 지형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에디터스 초이스